1편에서 해 볼 것은 EC2 원격 접속하기
열심히 만든 Web
Local 뿐 아니라 어디서든 접속 가능한 상태로 만들려면?? => 빌드한 것을 배포 하자 !!
배포의 의미
프로그래밍에서 배포는 3가지의 단어로 나뉘어져있다.
Release: 같은 제품을 새롭게 만드는 것(예: 새로운 버전을 배포, 새로운 아이피 번호 부여)
Deploy: 프로그램 등을 서버와 같은 기기에 설치하여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의미
Distribute: 제품을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의미
AWS EC2 서버 구매하기
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ec2/v2/home?region=ap-northeast-2
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ec2/v2/home?region=ap-northeast-2
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
(Seoul Region으로 들어가기)






보안 그룹 구성은 중요한 단계이다!!
EC2에서 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을 받을 수 있게 설정해야한다.
-> AWS EC2 Security Group에서 요청 포트를 열어 주는 과정 !!
5000 -> Flask 기본포트
27017 -> 외부에서 mongoDB 접속을 하기위한 포트
80 - > HTTP 접속을 위한 기본포트

이름은 원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. .
키 페어 이름이 곳 파일명 ! -> hello.pem

대기중은 몇 초 후 -> 실행 중으로 바뀐다 !! ㅎㅎ

여기서 필요한 것은
퍼플릭 IPv4 주소와 & 프라이빗 IP DNS 이름 이당 !!
자 그럼 이제 원격 접속을 하기위해 !!!
터미널을 켜준다 ! @
내 Kepair의 접근 권한을 바꿔주기
sudo chomod 400 받은키페어(경로필수)

SSH로 접속하기
ssh -i 받은키페어를끌어다놓기 ubuntu@AWS에적힌내아이피


다음 2편에서 다룰 것은
1. filzilla이용하여 EC2에 파일 업로드 하기 ~!
2. 서버에 DB셋팅하기 (mongo DB) 이다 !~!
'Web > Git & 배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북 디렉토리 구조 Tree 사용 / Ansible (0) | 2022.10.24 |
---|---|
SQL 기본쿼리문법 / SQL 문법 / Inner join, outer join, group by (0) | 2021.05.05 |
SQL 기본 개념. (database 필요성) / DCL, DDL 등.. (0) | 2021.05.05 |
[Github] Repository 폴더 생성 -간단 (0) | 2021.04.14 |
git branch관리 & merge / vs code로 pull request 하는 법. (0) | 2021.03.14 |
1편에서 해 볼 것은 EC2 원격 접속하기
열심히 만든 Web
Local 뿐 아니라 어디서든 접속 가능한 상태로 만들려면?? => 빌드한 것을 배포 하자 !!
배포의 의미
프로그래밍에서 배포는 3가지의 단어로 나뉘어져있다.
Release: 같은 제품을 새롭게 만드는 것(예: 새로운 버전을 배포, 새로운 아이피 번호 부여)
Deploy: 프로그램 등을 서버와 같은 기기에 설치하여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의미
Distribute: 제품을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의미
AWS EC2 서버 구매하기
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ec2/v2/home?region=ap-northeast-2
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ec2/v2/home?region=ap-northeast-2
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
(Seoul Region으로 들어가기)






보안 그룹 구성은 중요한 단계이다!!
EC2에서 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을 받을 수 있게 설정해야한다.
-> AWS EC2 Security Group에서 요청 포트를 열어 주는 과정 !!
5000 -> Flask 기본포트
27017 -> 외부에서 mongoDB 접속을 하기위한 포트
80 - > HTTP 접속을 위한 기본포트

이름은 원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. .
키 페어 이름이 곳 파일명 ! -> hello.pem

대기중은 몇 초 후 -> 실행 중으로 바뀐다 !! ㅎㅎ

여기서 필요한 것은
퍼플릭 IPv4 주소와 & 프라이빗 IP DNS 이름 이당 !!
자 그럼 이제 원격 접속을 하기위해 !!!
터미널을 켜준다 ! @
내 Kepair의 접근 권한을 바꿔주기
sudo chomod 400 받은키페어(경로필수)

SSH로 접속하기
ssh -i 받은키페어를끌어다놓기 ubuntu@AWS에적힌내아이피


다음 2편에서 다룰 것은
1. filzilla이용하여 EC2에 파일 업로드 하기 ~!
2. 서버에 DB셋팅하기 (mongo DB) 이다 !~!
'Web > Git & 배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북 디렉토리 구조 Tree 사용 / Ansible (0) | 2022.10.24 |
---|---|
SQL 기본쿼리문법 / SQL 문법 / Inner join, outer join, group by (0) | 2021.05.05 |
SQL 기본 개념. (database 필요성) / DCL, DDL 등.. (0) | 2021.05.05 |
[Github] Repository 폴더 생성 -간단 (0) | 2021.04.14 |
git branch관리 & merge / vs code로 pull request 하는 법. (0) | 2021.03.14 |